<p></p><br /><br />IMF 금융 위기의 신호탄이 됐던 한보그룹 부도사건을 기억하실 겁니다. <br> <br>당시 정태수 회장은 천문학적인 대출비리로 충격을 안겼었지요. <br> <br>당시 회삿돈 320억 원을 스위스로 빼돌린 혐의로 쫓겼던 정태수 회장의 아들 정한근 씨. <br> <br>그가 21년 만에 붙잡혔습니다. <br> <br>김철웅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건국 이래 최대 금융위기로 이어진 '한보 사태'의 장본인 정태수 한보그룹 회장 일가는 해외에서 도피 생활을 해왔습니다. <br> <br>[정태수 / 한보그룹 회장 (1997년 청문회)] <br>"(국민에게 죄송하다는 생각?) 저의 불찰로 입장이 없습니다." <br> <br>외환위기 직전까지 한보그룹 부회장이었던 넷째 아들 정한근 씨는 지난 1998년 검찰 수사가 시작되자 잠적했습니다. <br> <br>21년 동안 수사망을 피해 온 한근 씨가 최근 두바이에서 붙잡힌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시베리아 가스전 개발회사를 세우고 회삿돈 320억 원을 스위스로 빼돌린 혐의로 지명수배됐다가 두바이에서 체포돼 국외추방된 겁니다. <br> <br>서울중앙지검은 직원들을 두바이에 보내고 한근 씨를 송환하는 절차에 들어갔습니다. <br><br>정태수 일가는 고액 상습 체납자 1위. <br> <br>정 회장은 2225억 원, 아들 한근 씨는 293억 원 체납액이 있습니다. <br> <br>한근 씨가 송환되면 10년 넘게 중단됐던 재판이 본격 시작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<br>woong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재근